오늘은 코드숨 리액트 3주차 테스트부터 4주차 Redux, 5주차 비동기를 진행하며 어려움을 많이 겪었던 기억이 있고 내가 강의를 들으며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 복습 겸 점검차 테스트 강의에 대한 복습을 진행했다. 테스트 강의를 복습하며 내가 무심코 지나간 부분이 있었다. 바로, jest.fn()에 대한 부분인데, 강의에서 배운 뒤에 jest.fn()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하지 않고 과제를 진행하면서 아무 생각과 의심 없이 사용한 것 같다. jest.fn()은 jest에서 만들어주는 가짜 함수로, 일반 자바스크립트 함수처럼 인자를 넘겨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따로 공부하면서 알게 된 점은
const mockFunction = jest.fn();
mockFunction.mockReturnValue('원하는 값');
console.log(mockFunction()); // 원하는 값
다음과 같이 jest.fn()을 이용하여 가짜 함수 mockFunction을 만들고 mockReturnValue를 이용하여 mockFunction이 어떤 값을 return 해야 하는지 설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mockResolvedValue(Promise가 resolve 해야 하는 값)를 사용하면 가짜 비동기 함수가 return 해야 하는지 설정할 수 있다는 점 또한 배우며 알게 됐다. 역시나 복습의 필요성을 느낀 부분으로 복습을 확실히 진행해보니 내가 놓치고 있었던 부분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고, Redux와 비동기에 대한 복습도 꼭 다시 한번 진행해봐야겠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20614 (0) | 2022.06.14 |
---|---|
TIL - 20220613 (0) | 2022.06.13 |
TIL - 20220611 (0) | 2022.06.11 |
TIL - 20220610 (0) | 2022.06.10 |
TIL - 20220609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