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출한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진행했다. 피드백 중에서 기억에 남는 피드백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복습차 적어보려 한다.
- 나름대로 널리 쓰이는 의미가 있는 단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면 안된다 - 이번 과제에서 할 일들의 목록을 todoList라는 이름의 변수로 만들었는데, 프로그래머에게 List는 자료형 List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변수가 실제 List가 아니라면, 변수 이름에 List를 써선 안 된다. 생각지도 못한 부분인데 앞으로 변수를 선언할 때 이 변수의 이름이 널리 쓰이는 의미가 따로 존재하는지 꼭 한 번 더 생각하는 과정을 거쳐야겠다.
- 유틸함수를 만들어보자 -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객체 안에 아무것도 없으면 false를 반환하는 조건문이 있는데 이러한 조건문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객체를 인자로 받아 객체 안에 아무것도 없으면 false를 반환하는 유틸함수를 만들면 코드가 간결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코드를 보며 반복적인 조건문이 보이는 상황이 있다면 유틸함수를 만들어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야겠다.
- 구조 분해 할당을 이용하자 - id와 todo를 프로퍼티로 가지는 객체가 담긴 배열이 있다고 가정할 때, 이때 Array.map((item, index) => )와 같이 사용하면, item.id, item.todo로 다뤄야한다. 하지만 구조 분해 할당을 이용하여 Array.map({ id, todo }, index)처럼 만들면 id와 todo로 item이 중복이 안되고 코드가 간결해진다. 객체나 배열을 인자로 주고, 받을 때, 이 코드를 구조 분해로 더 깔끔하게 만들 수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가져야겠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20512 (0) | 2022.05.12 |
---|---|
TIL - 20220511 (부제: React에서 Enter입력 처리하기) (0) | 2022.05.11 |
TIL - 20220509 (0) | 2022.05.09 |
TIL - 20220508 (0) | 2022.05.08 |
TIL - 20220507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