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모던 JavaScript 튜토리얼에서 Bigint에 대해 공부했다. 작성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Bigint는 숫자의 크기, 길이의 제약 없이 정수를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숫자형이다. JavaScript에서 2^53 - 1 보다 큰 값 혹은 -(2^53-1) 보다 작은 값의 정수는 숫자형을 통해 나타낼 수 없다. 만약, 더 큰 숫자를 할당하려면 잘리게 된다. Bigint를 사용하는 방법은 정수 리터럴 끝에 n을 붙이거나 함수 Bigint에 문자열 혹은 숫자를 인자로 전달하여 호출하면 Bigint 타입의 값을 만들 수 있다.
const bigint = 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n;
const samebigint = Bigint("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
const samesamgebigint = Bigint(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
Bigint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두 Bigint를 나누면 정수부만 반환한다. 앞서 Bigint는 정수를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무조건 정수값만 나오게 되기 때문이다.
alert(5 / 2); // 2.5
alert(5n / 2n); // 2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20822 (0) | 2022.08.22 |
---|---|
TIL - 20220821 (0) | 2022.08.21 |
TIL - 20220819 (0) | 2022.08.19 |
TIL - 20220818 (0) | 2022.08.18 |
TIL - 20220817 (0) | 2022.08.17 |